블로그의 문제풀이에 이어서 나머지 문제들도 해설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답률에 변동이 있었네요. 15번을 먼저 해설해볼게요.
오답 중 3번이 가장 많았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알아야 하는 개념은 물가 상승률, 명목 GDP, GDP디플레이터, 실질 GDP, 경제 성장률 정도가 있네요.
물가 수준은 GDP 디플레이터로 측정한다고 나와있네요.
그러면 2015년의 GDP 디플레이터는 100, 2016년의 GDP 디플레이터는 110이니까 전년보다 상승했습니다.
그래서 1번은 틀렸고요.
2016년의 물가 상승률은 100에서 110으로 증가했으니 10퍼센트입니다.
2017년의 물가 상승률은 110에서 120으로 증가했으니 10퍼센트보다 작은 값입니다. 110에서 10퍼센트가 증가하면 110+11이니까 121이 되거든요.
그래서 2번도 틀렸습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 나누기 실질 GDP입니다. 2017년의 실질 GDP는 명목 GDP 나누기 GDP디플레이터입니다.
단순 수치만 볼게요. 2017년은 120 나누기 120입니다. 2015년은 100 나누기 100입니다. 2017년과 2015년 모두 1이네요.
그래서 3번도 틀렸습니다.
2018년의 실질 GDP가 가장 크다고 하는데, 연도별로 15년은 1, 16년은 120/110=1.09, 17년은 1, 18년은 90/120=0.75, 18년이 제일 작네요.
그래서 4번도 틀렸습니다.
16년의 경제 성장률을 볼게요. 경제 성장률은 실질GDP의 성장률을 보면 됩니다.
15년의 실질 GDP는 1, 16년의 실질 GDP는 1.09, 그러면 1에서 1.09로 경제 성장률은 9%네요. +9%니까 양의 값입니다.
이렇게 5번이 정답입니다.
물가 상승률, 명목 GDP, GDP디플레이터, 실질 GDP, 경제 성장률 이 5가지 키워드를 꼭 공부해두세요.
다음으로 18번 문제 볼까요?
18번 문제는 상품 수지, 서비스 수지, 외화 유출, 외화 유입, 이전 소득 수지, 본원 소득 수지 등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상품 수지는 수출과 수입의 차이,
서비스 수지는
1) 여객 및 재화의 수송에 수반 되는 운임 항목인 운수
2) 해외여행 및 유학연수 관련 항목인 여행
3) 통신서비스
4) 보험서비스
5) 특허권 사용료
6) 선박 항공기 등 수송장비의 임대 등과 관련된 사업서비스
7) 정부와 비거주자간 서비스거래인 정부서비스
8) 건설 등 기타부문이 포함되는 기타서비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화 유출은 달러나 엔화 등이 한국 밖으로 나가는 것(수입을 해서 달러를 해외로 보내는 것), 외화 유입은 달러나 엔화 등이 한국으로 들어오는 것(수출을 해서 달러를 벌어오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전 소득 수지는 내국인과 외국인 사이에 아무 대가 없이 주고받는 금액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가 국내친척에게 보낸 돈, 국내 자선 단체의 해외 기부금, 정부 간 원조금 등입니다.
본원 소득 수지는 경상수지를 구성하는 수지 중 하나인데, 한국인이 해외에서 받은 임금, 투자소득에서 외국인이 한국에서 받은 임금, 투자소득을 뺀 것을 말합니다.
자 이제 문제를 볼까요?
(가)는 한국 회사가 미국에 반도체를 수출했으니까 한국의 상품 수지에 좋은 요인이고, 미국의 상품 수지가 악화되는 요인이겠네요. 한국이 수출을 많이 할수록 한국의 상품 수지에 도움이 되고, 수입을 많이 할수록 상품 수지에 도움이 안됩니다. 그런데 (가)는 미국이 수입을 한거니까 미국의 상품 수지가 악화되는 요인이겠죠? 그래서 1번은 틀렸습니다.
(나)는 미국 항공사가 돈을 버는거니까 미국의 서비스 수지에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2번도 틀렸습니다.
(다)는 미국인이 한국 국채를 샀네요. 그러면 달러가 한국으로 들어오겠죠? 외화가 유입되었네요. 그래서 3번도 틀렸습니다.
(라)는 한국 정부가 외국에 무상 원조금을 줬네요. 그러면 이전 소득 수지에 해당하고 한국에서 돈이 빠져나간거니까 이전 소득 수지 악화 요인입니다. 그래서 4번이 정답입니다.
(마)는 한국 회사 주식의 배당금을 미국에 사는 사람에게 준 거니까, 본원 소득 수지에 해당하고 한국에서 돈이 빠져나간거니까 본원 소득 수지 악화 요인입니다. 그래서 5번은 틀렸습니다.
이렇게 개념만 잘 알고 있으면 경제에서 1등급을 유지하는건 굉장히 쉬워요.
온라인, 오프라인 과외 문의는 아래의 주소로 해주세요.
힐러연구소
1대1 온라인과외. 힐러연구소입니다.
pf.kakao.com